IT/과학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차 배터리 소재 정리 전기차와 2차전지 관련한 종목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전기차배터리와 관련해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주로 증권사 리포트나 뉴스 기사등을 통해 소식을 접하게 될텐데요. 전기차 배터리의 특성을 이야기할때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중 하나가 바로 배터리 용량과 출력인데, 이 특성을 결정하는 주 소재가 바로 양극소재입니다. 오늘은 얼마나 배터리의 양극소재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양극의 구성 및 활물질의 종류 양극은 얇은 알루미늄기재와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로 구성됩니다. 리튬산화물로 구성된 활물질에 소량의 도전재를 넣어 전도성을 높이고, 바인더를 넣어 이들이 잘 붙을수 있는 것을 '합제'라고 합니다. 그리고 합제를 알류미늄기재 양쪽에 바르면 양극이 만들어집니다. 활물질 : 화학적 반응을 .. 전고체 배터리란?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고체인 배터리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해질이 액체인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조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접촉을 방지하는 분리막이 있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의 단점은 안전성입니다. 액체를 사용하다보니 온도변화로 인해 배터리가 팽창하거나 외부 충격으로 누액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옛날 스마트폰을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가 있엇을텐데요. 이게 바로 리튬이온배터리가 팽창해서 생긴 현상입니다. 그래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부품이나 장치를 사용합니다. 부품이나 장치가 들어가다 보니 순수하게 .. [미세먼지 저감대책] 현대판 기우제 '인공강우'의 허와실 현대판 기우제 '인공강우'의 허와 실 현재 기술로는 미세먼지 저감에 유의미한 효과 보기 어려워, 폭넓은 기후변화 대응 위해 인공강우 기술 보유해야 '현대판'기우제라 불리는 인공강우. 애당초 가뭄 해갈 등을 목적으로 연구됐던 이 기술이 미세먼지 저감대책 으로 주목을 끌며 논란을 불렀다. 화력발전소 가동 감축, 노후 자동차 운행중단 등 정부와 지역자치단체가 갖은 방안을 동원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미세먼지 저감대책 으로 불쑥 '인공강우' 카드를 꺼내 든 것이다. 국가재난 급으로 심각해진 미세먼지 문제를 새로운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보자는 심정에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인공강우 실험방법[출처 - 위키백과] 지난 1월 25일 전북 군산 서해상에서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위한 5가지 제안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위한 5가지 제언 정부는 2018년 3월 초미세먼지 대기환경기준을 연평균농도 25㎍/㎥에서 15㎍/㎥으로, 일평균농도 50㎍/㎥에서 35㎍/㎥으로 대폭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미세먼지 예보모델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대기측정말을 대폭 증설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러나 과연 우리 대기관리정책은 잘 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의 미세먼지 저감정책은 무엇이 부족하고 무엇을 보완해야 할 것일까요? 첫째, 대기오염 배출실태를 제대로 파악해야 합니다. 대기오염 관리의 기본 원칙은 "파악되지 않으면 관리할 수 없다"입니다. 현재 우리의 대기오염 배출자료에서 일산화탄소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량은 과소평가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것은 최근 국대 대기오염 배출자료가 계속 보완되었으나 아직도 중소.. 한국 미세먼지 현황과 미세먼지 측정소 현황 이제 미세먼지는 지대한 국민적인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 하고, 어떤 사람들은 옛날보다 좋아졌는데 너무 과장한다고 비판하기도 합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최근 20여 년간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낮아졌으나 아직 좋아진 수준은 아닙니다. 특히, 2013년 이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변화는 정체되었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도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미세 먼지의 대기환경기준은 2018년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미세먼지 농도는 개선되지 않았으나 대기환경기준은 강화되었고 그에 따라 미세먼지 나쁨 일수가 증가하면서 체감오염도는 더 나빠지고 있습니다. 또한 초미세먼지는 메시먼지보다 국외 기여도와 2차 생성물질의 기여도가 커서 국내 배출저감 노력으로 직접적인 저감 효과를 거두는 것이 쉽지.. 이전 1 다음